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고바야시 유키

덤프버전 : (♥ 0)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의 2000년생 축구 선수에 대한 내용은 고바야시 유키(2000) 문서
고바야시 유키(2000)번 문단을
고바야시 유키(2000)#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49_Yuki-KOBAYASHI.jpg
홋카이도 콘사돌레 삿포로 No. 99
고바야시 유키
小林(こばやし 祐希(ゆうき | Yuki Kobayashi
출생1992년 4월 24일 (32세)
도쿄도 히가시무라야마시
등록명유키 → 코바야시
국적
파일:일본 국기.svg

포지션공격형 미드필더, 중앙 미드필더, 수비형 미드필더
신체182cm, 72kg
유소년베르디 주겐트 (~2010)
소속 구단도쿄 베르디 (2011~2012)
주빌로 이와타 (2012 / 임대)
주빌로 이와타 (2013~2016)
SC 헤이렌베인 (2016~2019)
SK 베베런 (2019~2020)
알 코르 SC (2020~2021)
서울 이랜드 FC (2021)
강원 FC (2022)
비셀 고베 (2022)
홋카이도 콘사돌레 삿포로 (2023~ )
국가대표파일: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 8경기 1골 (일본 / 2016)
링크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
2. 클럽 경력
3. 국가대표 경력
4. 플레이 스타일
5. 여담
6.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일본 국적의 홋카이도 콘사돌레 삿포로 소속 미드필더.


2. 클럽 경력[편집]



2.1. 일본 무대[편집]


도쿄 베르디 유스 출신으로 2011년에 성인팀에 공식 입단했으며, 중간에 주빌로 이와타 임대를 한번 다녀오긴 했지만 도쿄에서만 64경기에 출전해 7골 3도움을 기록했다. 이후 본인이 2012년에 임대를 떠났던 주빌로 이와타로 2013년에 공식 이적해 2016년까지 무려 123경기를 뛰며 14골 11도움의 스탯을 세웠다.


2.2. 유럽 무대와 카타르[편집]


파일:216008.jpg

이때의 활약을 바탕으로 네덜란드 에레디비지SC 헤이렌베인으로 건너가 101경기에 출전해 3골 8도움을 기록하고 2019년 여름 벨기에 주필러 프로리그SK 베베런으로 이적하여 22경기를 뛰며 2골 2도움의 성적을 내고, 2020년에 카타르 스타즈 리그를 통해 중동 무대에 발을 들여 20경기 출전해 2골 1도움을 기록했다.

그러다가 K리그2 서울 이랜드 FC로의 이적설이 나오게 되었는데 6월 26일 본인의 인스타 스토리에 비행기에 탑승한 사진과 한글 현수막을 배경으로 찍은 사진을 올리며 사실상 이적을 확정지은 상태로 여겨졌다.


2.3. 서울 이랜드 FC[편집]


이후 2021년 7월 1일, 서울 이랜드 FC 공식 SNS에 고바야시의 이적 오피셜 소식이 올라왔다.#

유럽 주요 1부 리그에서 주전급으로 뛰고 온 선수이며 무엇보다 현재 이랜드 중원에 창의성이 돋보이는 플레이메이커 유형의 선수가 부족해서 팬들은 유키의 영입에 더욱 환호하고 있다.

또한 고바야시가 이랜드에 온게 놀랍다는 반응이다. 고바야시 정도의 실력을 가지면 웬만한 아시아 주요 1부 리그팀은 물론 전북 현대 모터스, 울산 현대, 수원 삼성 블루윙즈 등 빅클럽에서 뛰어도 주전급일텐데 2부 리그에 온게 좋은 쪽으로 믿기지가 않는다는 것. 그만큼 언론들도 유키의 영입을 K리그2 역대급 네임드 영입이라 평가하고 있다. 후속보도에 따르면 네덜란드나 카타르에서 뛸때 알던 불투이스정우영 등 친한 선수들을 통해 K리그에 대한 좋은 말들을 들었고, 이랜드 측에서도 단장이 직접 나서 적극적으로 어필하는등 지극정성의 성의를 보였기에 이미 J1리그 팀으로부터의 오퍼도 받았던 고바야시의 마음이 이랜드 쪽으로 움직였다고 한다.#

파일:20210301.png

7월 19일의 K리그2 21라운드 김천 상무 전에서 선발로 출전하며 데뷔했으나, 정정용 감독의 말대로 아직 폼이 다 올라오지 않았는지 기대만큼의 모습은 보여주진 못했다. 8월 7일의 리그 24라운드 충남 아산 FC 전에서는 박세진에게 무리한 태클을 가해 PK를 내주면서 역전골을 허용하고 말았다.

2021시즌 서울 이랜드에서의 기록은 리그와 FA컵 포함해 8경기 출전 1도움. 저조한 성적의 영향이 큰지, 2021년 12월 28일 구단과 상호 계약 해지로 팀을 떠나게 되었다.

시즌이 끝나고 수원 삼성 블루윙즈가 영입한다는 루머가 있었으나 2022년 2월 3일 최용수감독이 있는 K리그1 강원 FC로 이적한다는 단독보도가 나왔다. 루스탐 아슐마토프와의 계약이 정리되는 대로 바로 오피셜을 띄울 것으로 보인다.


2.4. 강원 FC[편집]


2022년 2월 15일, 루스탐 아슐마토프가 강원을 공식적으로 떠나기로 하면서 고바야시 유키의 강원 선수단 등록이 조만간 발표될 예정이다. 이틀 뒤에는 JoinKFA에서 강원 선수로 등록된것이 확인되며 이적을 확정지었다. 비록 K리그2에서는 팀의 부진과 함께 별 성과를 내지 못했지만, K리그1에서는 어떤 모습을 보여줄지 기대되는 선수다.

2월 18일 강원은 고바야시 영입을 공식발표했으며, 등록명을 이름이었던 유키에서 성씨인 코바야시로 변경했다. 등번호는 유럽과 서울 이랜드에서 사용했던 21번을 그대로 사용한다.


2.4.1. 2022 시즌[편집]


17라운드 인천 원정에서 68분에 김대원의 추격골을 어시스트했다.

그다지 좋은 활약은 보여주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일본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섣부른 내용을 입에 담으며[1] 순식간에 K리그 팬들에게 비호감 스택을 크게 쌓고 말았다. 아마 다음 시즌에 그의 모습을 보기는 어려울 것 같다. 심지어 강원은 유키가 빠진 2경기에서 2연승을 거두며 좋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일본 국가대표까지 갔을 만큼 기량이나 잠재력은 충분하지만 정신적인 면에서 일본 팬들이 부정적인 평가를 하는 것이 아주 틀리지만은 않았던 것 같다.

2.5. 비셀 고베[편집]


2022년 7월 27일, J1리그의 비셀 고베가 고바야시 영입을 공식 발표했다. 등번호는 49번.#

이적한 후 3경기 출전중이나 출전한 경기마다 전부 패하고 있다.

전북 현대와의 ACL 8강에서 선발로 나왔지만 그다지 큰 활약을 보이지 못한 채 후반 29분에 교체됐고, 팀은 연장 혈투 끝에 1:3으로 패했다.

2.6. 홋카이도 콘사돌레 삿포로[편집]


2022년 12월 12일, 홋카이도 콘사돌레 삿포로 이적 오피셜이 발표되었다.#

3. 국가대표 경력[편집]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8번 출전했으며, 2016년 11월 11일 오만과의 친선경기에서는 득점도 기록했다. 2019년 3월부터 6월까지 4개의 A매치에 연속해서 모습을 드러낸 후 팔의 문신 문제로 인해 다시 국대에 소집되진 않았다.


4. 플레이 스타일[편집]


왼발잡이에 시야가 넓고 패스가 정확하며, 공미, 중미, 수미 등 모든 중앙 미드필더 포지션을 소화가능하다. 활동량이 많고 오프더볼도 좋으며, 중거리 능력도 있고 프리킥 등 세트피스에서 키커도 가능하다. 피지컬이 좋고 거친 성격이기에 수비 능력도 괜찮다. 다만 거친 성격이긴 하나 필드 위에선 전혀 독선적이진 않고 오히려 이타적이라고 한다.#


5. 여담[편집]


  • 알 코르 SC에서 뛸때 심판이 자신에게 "I kill you"라고 말했다면서 폭언에 대한 고발을 한 적이 있었는데, 알고보니 "I tell you"라고 말한것을 잘못 들었던 것이라고 한다.#

  • 부모님과 여동생의 행복을 바라는 격언을 문신으로 새겼는데, 문신에 대해 매우 보수적인 일본 문화 정서 상 국가대표팀 소집에서 탈락해버리자 이러한 풍토를 비판하는 인터뷰를 하기도 했다. # 해당 인터뷰 기사에는 '팔에 새겨두지 않으면 가족 이름도 못 외우는 바보', '실력으로 못 뽑히는 것을 문신 탓으로 돌리지 마라' 등의 원색적인 비난하는 반응이 일본의 커뮤니티에서 나왔다.

  • 일본인으로서 흔한 성씨에 흔한 이름이라 동명이인인 축구선수가 여럿 있다. 위로는 1988년생인 선수가, 아래로는 비셀 고베에서 뛰는 2000년생 센터백이 동명이인 현역인 상태. 2022년 비셀 고베로 이적하며 이 2000년생 동명이인과 만나게 되었다.



6. 둘러보기[편집]


홋카이도 콘사돌레 삿포로 2023 시즌 선수 명단
등번호국적포지션한글 성명일문/로마자 성명생년월일체격
1파일:일본 국기.svgGK스게노 다카노리菅野 孝憲1984.05.03178cm, 75kg
2파일:일본 국기.svgDF다나카 슌타田中 駿汰1997.05.26183cm, 68kg
3파일:일본 국기.svgDF바바 세이야馬場 晴也2001.10.24181cm, 76kg
4파일:일본 국기.svgFW스가 다이키菅 大輝1998.09.10171cm, 69kg
5파일:일본 국기.svgDF후쿠모리 아키토福森 晃斗1992.12.16183cm, 75kg
6파일:일본 국기.svgDF나카무라 토야中村 桐耶2000.07.23186cm, 78kg
7파일:브라질 국기.svgFW루카스 페르난데스Lucas Fernades1994.04.24174cm, 65kg
8파일:일본 국기.svgMF후카이 가즈키深井 一希1995.03.11177cm, 72kg
10파일:일본 국기.svgMF미야자와 히로키宮澤 裕樹1989.06.28182cm, 72kg
11파일:일본 국기.svgMF아오키 료타青木 亮太1996.03.06174cm, 72kg
13파일:대한민국 국기.svgFW김건희Kim Gun Hee1995.02.22187cm, 82kg
14파일:일본 국기.svgMF고마이 요시아키駒井 善成1992.06.06168cm, 64kg
18파일:일본 국기.svgMF아사노 유야浅野 雄也1997.02.17173cm, 72kg
19파일:일본 국기.svgMF오가시와 츠요시小柏 剛1998.07.09167cm, 68kg
21파일:일본 국기.svgGK마츠바라 슈헤이松原 修平1992.08.11185cm, 87kg
22파일:일본 국기.svgDF니시 다이고西 大伍1987.08.28178cm, 75kg
23파일:일본 국기.svgFW오모리 신고大森 真吾2001.02.09181cm, 77kg
27파일:일본 국기.svgMF아라노 다쿠마荒野 拓馬1993.04.20180cm, 72kg
28파일:일본 국기.svgDF오카다 야마토岡田 大和2001.06.17180cm, 78kg
30파일:일본 국기.svgMF다나카 히로무田中 宏武1999.04.15174cm, 68kg
31파일:일본 국기.svgMF키다 슈마木戸 柊摩2003.01.02170cm, 63kg
32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FW밀란 투시치Milan Tucic1996.08.15186cm, 77kg
40파일:일본 국기.svgFW이즈마 시도出間 思努2005.06.15175cm, 68kg
41파일:일본 국기.svgFW스가야 슈토菅谷 脩人2006.12.25183cm, 69kg
42파일:일본 국기.svgGK다케우치 류우마竹内 琉真2006.04.19186cm, 80kg
44파일:일본 국기.svgMF오노 신지小野 伸二1979.09.27175cm, 76kg
47파일:일본 국기.svgDF니시노 슈토西野 奨太2004.05.28182cm, 79kg
48파일:일본 국기.svgGK오타니 코키大谷 幸輝1989.04.08186cm, 87kg
49파일:태국 국기.svgFW스파초크Supachok1998.05.22169cm, 66kg
50파일:일본 국기.svgDF오카무라 다이하치岡村 大八1997.02.15183cm, 82kg
51파일:일본 국기.svgGK다카기 슌高木 駿1989.05.22181cm, 76kg
99파일:일본 국기.svgMF고바야시 유키小林 祐希1992.04.24182cm, 72kg
구단정보
회장: 노노무라 요시카즈 / 감독: 미하일로 페트로비치 / 구장: 삿포로 돔
출처: 홋카이도 콘사돌레 삿포로 / 최종 수정 : 2023년 7월 26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2 18:10:37에 나무위키 고바야시 유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축구와 전술에 있어서 중동 리그의 수준 평가, K2의 수준 평가, 전 팀인 이랜드의 수준 평가, K1의 수준 평가와 강원의 평가와 비판 등 팬들이 좋게만 받아들이기 어려운 부분이 있었다.